로고


커뮤니티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추천리뷰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41) ‘눈 위에 핀 꽃’ 전시를 보고

김정현

독자투고(41)
김정현 / 경기대 3년, 서울 종로구 홍지동

철창과 나무판으로 가려진 창문을 통해 눈동자 하나가 작품을 보는 이들을 응시한다. 민중미술가 홍성담의 <먹방>이다.
새해의 설을 맞아 작년의 천안함 사건과 연평도 사건의 무거웠던 공기가 주위에서 떠나려던 찰나, 작품의 응시하는 시선은 “나를 잊을 거냐!”라고 외치는 듯 했고 가벼운 마음으로 전시장을 거닐던 관람객들을 이내 작품 앞에 멈춰 서게 했다.

설 연휴에 대전시립미술관에서 열리는 ‘눈 위에 핀 꽃’을 보았다. 한국전쟁 60주년을 맞이한 2010년의 연대기적인 시점을 계기로 분단체제 아래에서의 미술을 살펴보는 전시로서 섹션 1. 분단시대의 인간실존, 2. 기억으로서의 분단, 3. 현실속의 분단, 4. 분단을 넘어서 4가지 섹션으로 38명의 작가, 160여 작품으로 조망한 전시다.

이제 60여 년의 세월이 흐르면서 분단을 전쟁과 이산(離散)의 아픔으로 체감한 많은 분들이 세상을 뒤로 하셨지만 지나간 2010년 한해는 대한민국이 ‘휴전’상태에 있다는 사실을 온 국민이 체감하기에 부족함이 없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열린 이번 기획전은 미술이 분단이라는 지난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해 어떻게 발화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전시였다.

전시 내용 중 이태호의 <막걸리보안법>과 홍균의 <천안함 합동 장례식>이 있었다. 각각 과거 군사정권 시대의 희극과 비극이 교차하는 상황과 동시대의 젊은 여성의 울음을 통해 분단의 아픔이 현실의 우리 삶에서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드러내고 있었다. 또한 박영균은 <들 사람들>이라는 다큐멘터리 영상을 통해 삶의 터전을 빼앗긴 대추리 주민들의 아픔을 빼곡히 기록했다. 더불어 이응노의 <6.25>, 전화황의 <낙오자>, 서용선의 , 1980년대 현장미술 아카이브 등을 통해 실감할 수 있었다.

분단 상황을 시각이미지들과 길지 않은 영상들로 기록하고 표출한 이번 ‘눈 위에 핀 꽃’전시가 ‘눈’과 마찬가지로 단지 시련의 때인 겨울을 대변하고 상징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다가올 봄의 땅을 적실 ‘눈’으로 기억 속에 남아있었으면 한다. <먹방>의 시퍼런 시선을 떠올리며 말이다.

전체 0 페이지 0

  • 데이타가 없습니다.
[1]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